분류 전체보기26 어음의 배서와 할인 2.4 어음의 배서와 할인 약속어음의 수취인은 지급기일 이전에 자유로이 어음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 즉, 상대방이 허락하면 갖고 있는 타인이 발행한 어음을 상품 대금 등으로 지급하게 된다. 양도 시에 어음 뒷면의 배서란에 필요 사항을 기재하고 기명·날인하게 되는데 이것은 배서(背書)라 하고, 배서 받은 피 배서인도 다시 배서하여 다른 사람에게 어음을 양도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어음을 만기일 전에 은행 등 금융기관에 매각하는 형식으로 자금을 빌리는 것을 어음할인이라 한다. 이때 기업은 어음금액에서 어음을 매각한 날로부터 만기일까지의 소정 이자를 차감한 잔액을 금융기관으로부터 지급받게 된다. 타인에게 어음을 배서·양도하거나 할인하면 어음상의 채권이 소멸되므로 매출채권 대변에 기입하며.. 2024. 2. 15. 채권 및 채무 계정 제1절 매출채권 및 매입채무 1.1 매출채권의 의의 채권이라는 용어는 회계학과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말이다. 우리가 실생활에서의 채권이란 미래에 “돈을 받을 권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채권의 의미가 미래에 “돈을 받을 권리”라고 한다면 매출채권이란 “매출로 인하여 발생한 미래에 돈을 받을 수 있는 권리”이고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품을 판매한 후(혹은 서비스를 제공한 후) 판매시점(혹은 서비스 제공 시점에서)에서 현금을 받지 못하고 일정 기간 후에 현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얻었을 때 이 권리를 매출채권이라고 한다. 매출채권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첫 번째가 외상판매의 경우이고 두 번째가 어음을 받는 경우이다. 회계학에서의 매출채권은 이런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의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한다. .. 2024. 2. 14. 단기매매증권의 회계처 2. 단기매매증권의 회계처리 2.1 단기매매증권의 취득 단기간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매수와 매도가 적극적으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증권으로서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시장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기업에서 현금이 필요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시장에서 시장가격으로 처분하여 필요한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둘째, 단기 보유 목적으로 유가증권을 보유하여야 한다. 단기매매증권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영자가 1년 이내에 유가증권을 처분하여 현금화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특수 관계자가 발행한 주식이 아니어야 한다. 특수 관계자가 발행한 주식은 타 회사를 지배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소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성과 단기 보유 목적 여부에 관계없이 투자유가증권으.. 2024. 2. 13. 단기금융상품 제3절 단기금융상품 3.1 의의 단기금융상품이란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특정 예금 및 기타 정형화된 금융상품 등으로 단기적 자금 운용 목적으로 소유하거나 기한이 1년 이내에 도래하는 것으로 여기서 정형화된 상품이란 종합금융, 투자신탁, 증권사 등 제 2금융권에서 판매하는 어음관리계좌, 표지어음, 공사채형 펀드, 양도성 예금 중시 등 그 속성상 현금화가 용이한 자산에 기업이 투자한 금액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예금에 대해서는 그 내용을 주석으로 기재해야 한다. 3.2 종류 (1) 양도성 예금증서(certificate of deposits : CD) 정기예금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는 단기채권으로서 단기간에 높은 금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 CD는 시장에서.. 2024. 2. 8.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