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비유동부채 제9장 비유동부채 제1절 사채 1.1 의미 사채란 기업이 장기적으로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일반 대중에게 발행한 증권으로서 만기일에 사채권면에 표시된 원금을 지급하며, 정기적으로 표시된 이자율에 따라 일정한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정한 채무증권을 말한다. 사채와 주식의 유사점은 장기적인 자금조달의 수단이 되고 사채는 발행한 회사의 입장에서 보면 대표적인 비유동부채이고, 매입한 회사의 입장에서 보면 유가증권이나 투자채권이 된다. 주식이나 사채를 매입하면 유가증권계정으로 기록하며, 일반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는 반면, 아래와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사채와 관련된 회계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의 용어를 이해하여야 한다. ① 액면가액 : 만기에 사채권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사채의.. 2024. 3. 29.
무형자산의 의의 5.1 무형자산의 의의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이란 재화의 생산성이나 용역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또는 관리에 사용할 목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으며 물리적 형체가 없지만 그 자산이 기업실체나 다른 자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법적 권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식별 가능하고, 그 자원으로부터 미래 경제적 효익을 획득할 수 있고 그 효익에 대해 제3자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재화의 매출이나 용역수익, 원가절감 또는 그 자산의 사용에 따른 기타 효익의 형태로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는 비화폐성 자산을 말한다. 현행기업회계기준에는 영업권을 대표적인 무형자산으로 인식하나 기업회계기준서에서는 식별 가능성이 없다는 이유로 영업권, 창업비 .. 2024. 3. 22.
감가상각 방법 3.2 감가상각 방법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기준액을 추정내용연수 동안 체계적으로 배분해 주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의 것들이 있다. ① 정액법 ② 정률법 ③ 연수합계법 ④ 생산량비례법 (1) 정액법 정액법(straight line method)은 유형자산의 감가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매 회계기간에 동일한 금액을 상각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계산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액법 상각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연간 감가상각액 = (취득원가-추정잔존가치)/추정내용연수 (2) 정률법 정률법(balance-declining method, fixed-percentage-on-declining base method)은 유형고정.. 2024. 3. 21.
유형자산의 유지 제2절 유형자산의 유지 기업이 유형자산을 취득한 후 영업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 유형자산에 대하여 수리·개량 등의 이유로 추가적으로 수선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당기의 비용으로 처리하는 추가적 지출은 ‘수익적 지출(revenue expenditure)’이라고 하며 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하는 추가적 지출을 ‘자본적 지출(capital expenditure)’이라 한다. 2.1 수익적 지출 수익적 지출(revenue expenditure)이란 유형자산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지출된 원가가 미래의 기간 동안에 효익을 제공하지 못하고 단지 당기에만 효익을 제공하는 지출로서 이는 당기의 비용으로 인식한다. 수익적 지출로는 원상회복 또는 능력 유지를 위한 경상적인 지출(ordin.. 2024. 3. 7.